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0 오라클 테이블별 용량 조회 --테이블 조회 SELECT * FROM all_tables; -- 테이블 전체 용량 select round(sum(num_rows * avg_row_len / 1024 / 1024 / 1024)) Gb from all_tables; -- 테이블별 용량 select table_name, round( (num_rows * avg_row_len/1024/1024),2) as "size(MB)", round( (num_rows * avg_row_len/1024/1024/1024),2) as "size(GB)" from USER_TABLES order by "size(GB)" desc; 유용하셨다면 댓글 부탁! 2022. 11. 11. 토비스프링 1-2 정리 (개인저장용) - 테스트는 자동화돼야 하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어야 함 - Junit가 편리하다 - 테스트 결과는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 코드 변경없이 환경이나 테스트 실행 순서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면 안된다. => 독립적이어야 한다. - 충분히 검증해라! - 테스트 수행 간격이 짧을수록 좋다. - 테스트의 단위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작을수록 좋다. - 테스트하기 쉬운 코드가 좋은 코드다. - 테스트 먼저 만들고 코딩하고 테스트를 성공시키는 테스트주도개발방법 => TDD - 100줄이 넘는 코드를 열심히 코딩한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려고 하면 귀찮다. => 미리미리 테스트코드를 먼저 만들자 => TDD - @Before, @After등 공통 준비 작업, 정리작업을 처리 하면 편하다. - 기술 사용방법을 익히기 위.. 2022. 11. 5. TDD에서 테스트 문서 대체 가능이란? 각종 IT블로그, 서적에서 테스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TDD를 통한 개발을 소개하고 있고, 많은 회사에서 면접을 볼때 TDD에 대한 의견을 물어볼 정도로 Test, TDD는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DD 심지어 테스트 코드조차 작성하지 않는 개발자들이 많다. 필자도 SI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SI프로젝트 기한을 맞추기 위해 바쁘다는 핑계로 TDD를 실천하지 않았고 심지어 테스트의 중요성을 알지 못했다. 그렇게 3년이란 시간이 지나 이직한 회사의 개발자들이 TDD을 통해 개발을 진행했고 늦게나마 TDD를 실천하기 위해 공부를 했고 이해하기 어려웠던 부분을 공유하려고 이렇게 글을 쓴다. TDD란? 테스트 주도 개발(test-driven development, TDD)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 2022. 10. 30. 토비스프링 1-1 정리( 개인저장용 ) 객체지향의 설계 원칙(SOILD) 1.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lity Principle) 2. 개방-폐쇄 원칙 (Open Closed Principle) 3. 리스코프 치환 원칙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4.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5. 의존 역전 원칙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 빈 스프링에서는 스프링이 제어권을 가지고 직접 만들고 관계를 부여하는 오브젝트를 빈이라고 부른다.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별도의 설정 정보를 참고하여 IoC를 적용하여 빈의 생성, 관계 설정 등의 제어한다. 싱글톤 레지스트리 - 스프링은 기본적으로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으면 내부에.. 2022. 10. 29.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8 다음 반응형